Life/에세이
글 잘 쓰는 법(미움받을 용기 작가의 문장수업)_1
HG trip
2019. 9. 3. 22:00
p.35 '문장 수업 안내의 가장 큰 목적은 '쓰려고 하지 말고 번역한다' 라는 원칙을 머릿속에 집어넣는 것이다. 머릿속에 맴도는 느낌을 말이 되는 언어로 번역한 것이 문장이라는 것. 문장을 쓰다가 지쳐 버린 사람이나 문장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은 번역에 대한 인식이나 기술이 부족한 것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또한 쓰기 위해서 생각하는게 아니라 생각하기 위해 쓴다는 사실과 우리가 '쓰기'라는 표현 과정을 통해 자기 나름의 이해를 얻어간다는 것을 설명했다.
첫번째로 말로 이야기 한 내용을 자신, 나만의 말로 옮기는 것이다.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 과정에서 이야기 하는 내용, 그 당시 상황, 그 대화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 등을 내 나름대로 정리해서 하나의 스토리로 재구축하는 것이다. 자신의 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그 이야깃거리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고, 글의 맥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두번째는 말이 아닌 것을 자신의 말로 바꾸는 것이다.
지도, 사진, 그림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시각 요소가 필요한데, 말로만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이것을 말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객관적인 요소들을 파악하여 독자들이 정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끔 상세하게 묘사를 해야한다. 만약 나의 주관이나 감정을 담는다면 정확한 묘사는 힘들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세번째는 쓰려고 하지 말고 번역하는 것이다.
머릿속에 맴도는 느낌을 말이 되는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문장이다. 이것이 이 책에서의 핵심이다. 메일, 기획서, 프레젠테이션, 자기소개서, 블로그, SNS 등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는 글을 쓸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내 머릿속에 정리되어 있지 않은 생각들을 재구축하여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야한다.
첫번째로 말로 이야기 한 내용을 자신, 나만의 말로 옮기는 것이다. 사람들과 이야기 하는 과정에서 이야기 하는 내용, 그 당시 상황, 그 대화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 등을 내 나름대로 정리해서 하나의 스토리로 재구축하는 것이다. 자신의 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그 이야깃거리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고, 글의 맥락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두번째는 말이 아닌 것을 자신의 말로 바꾸는 것이다.
지도, 사진, 그림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시각 요소가 필요한데, 말로만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이것을 말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객관적인 요소들을 파악하여 독자들이 정상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끔 상세하게 묘사를 해야한다. 만약 나의 주관이나 감정을 담는다면 정확한 묘사는 힘들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의 성질을 파악할 수 있다.
세번째는 쓰려고 하지 말고 번역하는 것이다.
머릿속에 맴도는 느낌을 말이 되는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문장이다. 이것이 이 책에서의 핵심이다. 메일, 기획서, 프레젠테이션, 자기소개서, 블로그, SNS 등 시간이 지날수록 우리는 글을 쓸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내 머릿속에 정리되어 있지 않은 생각들을 재구축하여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길러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