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기사/축산 기사 스크랩

지속가능한 축산을 위한 사료공정서 개정 (온실가스 및 악취저감)

by HG trip 2022. 1. 21.

기사 작성일 2022.01.09

 

[기사 내용]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축산분야 온실가스 및 악취저감, 가금 사료의 메치오닌 성분의 성분등록 방법 개선 등 [사료 관리법]에 따른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을 2021년 12월 29일 개정 및 시행한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작년 4월부터 '환경부담 저감사료 보급, 확대를 위한 전담조직(T/F팀)'을 구성하여 시중에 유통되는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 조사와 서울대학교와의 선행 연구를 실시하였고, 학계 및 산업계 등과 조단백질 함량 제한의 세부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외 민원 등을 통해 제기된 국민불편 사항을 개선하여 반영하였다.

 농식품부는 이번 고시 개정을 통해 ▲ 양축용 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 제한, ▲ 일부 양축용 섬유질 배합사료의 명칭 통폐합 및 구간 조정, ▲ 가금용 (양계, 오리) 배합사료의 메치오닌 등 성분등록 사항 명확화 ▲ 곤충용 배합사료 항목 신설 등의 제도개선을 하였다.

 

양축용 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 제한

 개정안은 양돈용 배합사료 내 조단백질 함량의 허용기준을 성장단계별로 14~23%까지 제한하던 것을 13~20%로 1~3%p 낮췄으며, 양돈용 배합사료와 달리 조단백질 함량을 제한하지 않았던 축우용 (고기소, 젖소) 및 가금용 (닭, 오리) 배합사료에 대해서도 축종별, 성장단계별로 조단백질의 허용기준을 15~24%로 신설하였다.

 그간 축산 현장에서는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사료업계의 조단백질 함량에 대한 과열 경쟁으로 온실가스 및 축산악취 등 환경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으나, 지속 가능한 축산으로의 전환을 위해 가축이 먹는 사료부터 개선해 나가는 것이다.

 이번 개정을 통해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1%p 감소할 경우 가축분 퇴비 부숙 과정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 (N2O) 배출이 줄어 연간 355천 톤 CO2의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고, 양돈농가에서는 축산악취의 원인물질인 암모니아 가스토 최대 10% 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고가의 단백질 원료 사용이 줄어 배합사료 1KG 당 약 3~4원의 사료비를 절감하여 축산농가 경영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양축용, 섬유질 배합사료의 명칭 통폐합 및  구간 조정

 개정안은 축종 및 성장단계 등에 따라 세분화하여 규정하고 있는 양축용 배합사료의 명칭을 농가의 이용 현실 등을 반영하여 일부 구간을 통합하고, 섬유질 배합사료의 명칭은 양축용 배합사료에 준하여 성장단계별로 제조업자가 정하도록 한 것을 가축의 급여 시기별 특성에 맞춰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기존에는 성장단계별로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어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성장단계에 따른 정확한 사료 사용보다는 상대적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높은 성장단계의 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조단백질 과잉 공급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어 왔다.

 실제 주요 가축의 영농환경에 맞춘 배합사료 명칭, 사용 범위와 용도 설정으로 농가의 이해도 및 사료 급여의 편의를 향상하고, 섬유질 배합사료의 생산성 향상과 체계적 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번 개정에 따라 양축용 배합사료 및 섬유질 배합사료 제조업체는 명칭 조정 및 성분등록 사항 변경에 따른 새로운 성분등록을 오는 2022년 6월 30일 까지 마무리해야 한다.

 

가금용 (양계, 오리) 배합사료의 메치오닌 등 등록사항 명확화

 개정안은 오리용 배합사료에 등록하는 메치오닌의 유형을 닭용 배합사료에 등록하는 메치오닌의 유형과 동일하게 규정한다.

 기존에는 닭용 배합사료의 메치오닌에만 시스틴과 메치오닌수산화유도체를 합산한 양을 최소량으로 등록하도록 규정하였으나, 이번 개정을 통해 오리용 배합사료에도 메치오닌의 유형을 특정하지 않고 닭과 동일하게 성분등록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사료 원료 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곤충용 배합사료 항목 신설 등 추진

 개정안은 축산법의 가축으로 정하는 기타 동물의 범위에 포함된 14종 곤충에 대해 양축용 배합사료 항목을 신성하고 '밤가공부산물' 등 신규 사료 물질 등재와 사료 표준 분석방법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등 제도를 개선한다.

 농식품부 정경석 축산환경자원과장은 "이번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개정, 시행을 통해 축산분야의 환경에 대한 책임을 보다 강화하고, 사료 관련 국민 불편사항 등을 개선함으로써 국내 사료 산업 및 연관산업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490701 

 

지속가능한 축산을 위한 사료공정서 개정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축산분야 온실가스 및 악취저감, 가금사료의 메치오닌* 성분의 성분등록 방법 개선 등 사료관리법에 따른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농림축산식품

www.korea.kr

 

[기사 요약]

 사료 회사들의 과열 경쟁으로 인한 조단백질 함량의 점진적인 증가는 대기오염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 개정안을 통해 조단백질 함량의 허용기준을 약 2% 정도 낮추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사료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진 것이라 볼 수 있다. 축산업에서 배합사료는 중요하다. 대표적인 예시로 육우 농가의 경우는 TMR이라 불리는 섬유질 배합사료를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주로 쌀겨나 깻묵 등의 농산부산물로 만든 사료인데, 다른 배합사료보다 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육질, 기호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부산물 배합사료 이외에 곤충을 활용한 대체원료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저탄소에 대한 중요도가 부각되면서 곤충 대체원료는 발생되는 오염도를 줄일 수 있으며 필수 영양소를 고루 갖춘 영양소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